왜 우리는 교육을 받을수록 멍청해지는가

책 표지 이미지

 

푸른숲발도르프학교 바자회에서 재미있는 책한권을 입수했다. 민들레에서 발간한 책들을 파는 코너가 있었는데 **아빠가 맡고 있었다. 바자회 내내 **아빠가 나를 따라다니는 기분을 느꼈다. 결국 사야만 했으리라. 그 분의 내공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민들레에서 발간한 책이니 제도권교육에 대해 비판적일테고 교사, 부모의 성찰을 요구하는 책일 것이라 섣불리 짐작해 보며 그중 제목이 가장 섹시한(?) 책을 골랐다. 다행히 가격도 무척 저렴했다. 존 테일러 개토가 쓴 ‘바보 만들기’다. 부제는 ‘왜 우리는 교육을 받을 수록 멍청해 지는가’, 누가 붙였는지 참 멋지다. 한때 잘나가던 광고 카피라이터였다던 작가에게 부제를 요청했더라면 이정도 제목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작가는 광고 카피라이터로 일하다 그 일이 무의미함을 깨닫고 교직에 투신한다. 이후 30년간 교직을 지키며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교직사회에서 파격적인 행보라 하면 사실 관리자, 제도권, 허위에 대한 저항이라 봐도 좋을 듯 싶다. 조직화된 학교에서 자리 욕심을 버리고 아이들을 위해 투신한다면 충분히 파격적인 행보라 할만 하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런 교사에게 세번씩이나 ‘올해의 교사상’을 줬던 것을 보면 그의 행보를 반겼을 학부모와 교사, 학생들 그리고 극소수 관료들의 답답함이 어느정도 였을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 작가는 시종일관 근대 의무교육의 폐해에 대해 말하고 있다. 작가가 내린 최종 결론은 중앙집권화된 의무교육의 사형선고다. 더이상 개선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했다. 현재 교육제도를 통해 사회를 통제하는데 너무도 잘 성공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을 절대 폐기하지 못할 것이라 본 것이다. 나아가 제도권 교육의 붕괴를 위해 교육이 시장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경쟁할 것을 주문한다. 극단적인 처방이지만 어찌보면 현실적인 유일한 대안인지도 모르겠다. 세금을 학부모와 학생에게 돌려주고 교육주권을 회복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가 간섭하는 제도권 교육의 폐해는 많은 교육전문가,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바라 새로울 것은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작가의 경험을 통해 교육의 피해자인 독자들의 공감을 끌어낸다. 과거의 상처를 또렷히 회상시켜 준다. 넘치는 위트로 제도권 교육을 옹호하는 저들을 비꼬기도 한다. 그래서 감동적이다.

작가가 제시하는 해법은 두가지다. 첫째, 교육을 우리의 삶속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것이다. 가정, 사회와 괴리된 채 학교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지금의 의무교육이고 아이들을 자기 삶의 이유를 모르는 기계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식민지시대 뉴잉글랜드 지역의 독립교회(조합교회라 해석하는데 어색해서)와 같은 자율적인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작가가 제시하는 이 방식이 사실 신선하게 다가오진 않는다.

왜냐하면 나는 발도르프교육 철학을 이미 접했기 때문이다. 작가가 주장하는 국가교육의 폐해와 그 해결책은 100여년전 루돌프 슈타이너가 제시했던 바와 거의 일치한다. 미국이 문제삼는 의무교육의 뿌리는 프로이센의 교육모델이었다. 독일의 근대교육이 미국으로 수출되고, 미국은 일본에 수출하고, 일본은 한국에 전수했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당시 독일 국가교육의 폐해를 보고 독립적인 학교의 설립을 주장했다. 국가의 간섭, 경제로 부터 자유로운 학교, 공동체로 이루어진 학교가 발도르프학교이다. 작가인 존 테일러 개토의 주장을 지지하고 탈학교 운동에 동참하는 사람들이 전세계적으로 퍼져 있다고 한다. 그들은 발도르프교육을 들어보지 못했을까?

분명한 것은 발도르프교육 또는 인지학과 관련된 서적보다 이 책 ‘바보 만들기’의 책장을 넘기기가 더 쉽다. 교육을 아이들을 통제하고 길들이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저들을 향해 ‘빅엿’을 날려주니 통쾌하다. 하지만 그 이후엔 공허함이 남지 않을까 싶다.

이젠 뭘, 어떻게 해야 하지?

탈학교, 홈스쿨링, 대안학교, 그 문턱을 넘기가 이 나라에서는 너무 어렵다. 하지만 일단 그 문을 넘어서면 왜 그토록 고민했을까 싶다. 어리석게…

1개의 댓글

jidochangut님에게 덧글 달기 응답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