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ged: 김중신

그 꿈으로 날아가리

어린 아이들은 부모와 같은 절대적인 권위안에서 충분히 보호받고 사랑받아야 한다는 것이 슈타이너의 철학입니다. 또한 아이 개개인의 성향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교육을 실현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발도르프학교에는 8학년 담임과정이 있습니다. 이는 교사에게도 학생에게도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부모에게 조차 힘든 그 과정이 선생님에게는 어떤 무게로 다가올까요? 8년을 함께 보낸 선생님이라면 부모와 다를 바가 있을까요?

푸른숲발도르프학교에는 올해 8학년 과정을 마치고 담임 선생님의 품을 떠나는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이 친구들은 9학년 상급과정으로 진급하게 됩니다.

아이들과 8년을 함께 보낸 담임 선생님은 지난 시간을 다음과 같이 회고하셨습니다.

“앞니빠진 철부지가 사춘기 청년이 될 때까지 한 담임과 함께 하다니,

상상도 하기 어려운 일을 우리가 하고 있습니다. 해내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기까지 우리는 얼마나 많은 웃음과 울음과 애닳음과 애씀….

실수, 반성, 후회, 기쁨, 행복, 그리고 성장을 겪는지요.”

<2012년 2월의 어느날>

그리고 8년을 함께 살아 온 한 제자는 담임 선생님을 위해 이 시를 받쳤습니다.

20120307-105715.jpg

푸른숲발도르프학교 8학년 김중신

                    날아가리
                                                                       – 김중신 –

날아가리
지금까지
‘지금까지’라고 말하기 바로 전 순간까지는 꿈이었던

꿈이었던
지금,

‘지금’이라고 말하는 이 순간
그 꿈이 새가 되어

그 꿈이 새가 되어
지금부터,

‘지금부터’라 말하는 이 순간부터
바로 그 꿈으로 날아가리

바로 그 꿈으로 날아가리
지금부터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