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ged: 루돌프 슈타이너
슈타이너 학교 보다 중요한 것
신입, 편입 학부모들에 대한 교육을 부탁받았다. 발도르프교육에 대한 확신이 점점 퇴색해 가는 요즘, 학부모들 앞에 서는 것이 옳은 것인지 확신이 서질 않았다. 많은 기대와 환상을 가지고 있을 신입 학부모들에게 다른 관점을 제시해 주는 것, 현실감각을 심어주는 것이 그들에게도 도움이 되리라 판단되어 수락했다. 학부모들과 공유한 내용을 이곳에도 올린다.
– 슈타이너 학교 보다 중요한 것, 슈타이너의 삶 –
우리가 이자리에 모인 이유가 무엇입니까. 각자 다른 배경, 다른 삶의 터전을 가진 사람들이 왜 연고도 없는 퇴촌의 작은 시골마을에 모이게 되었을까요. 당연히 푸른숲 발도르프학교에 아이를 보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학력도 인정되지 않고, 좋은 대 학에 진학할 가능성도 희박하고, 심지어 비싼 학비에 사적인 시간까지 쏟아야 하는 이 학교에 아이를 보낸 이유는 무엇입니까.
제가 이곳에서 4년의 시간을 보내고 파악한 우리 학교 학부모들의 공통점은 한가 지로 압축되는 것 같습니다. ‘공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입니다. 공교육을 바라보는 관점과 문제인식에 편차가 크긴 하지만 그렇다고 공교육을 완전히 부정하는 이는 많지 않아 보입니다. 때가 되면 대부분 이학교가 아닌 다른 학교를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 다 른 대안학교를 찾거나 홈스쿨링을 선택할 사람은 아마도 많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학 교를 아이를 위해 택할 수 있는 경쟁력있는 교육상품 중의 하나로 생각하는 것이 사실 입니다. 그런데 학년이 올라갈 수록 과연 이 교육이 경쟁력이 있는지 의구심은 커져만 갑니다. 아주 오래전 부터 많은 교육전문가들은 떠들어 왔습니다. 미래의 경쟁력은 학 벌보다 능력, 지식보다는 창의력, IQ보다는 EQ, 혼자가 아닌 팀웍에서 나온다고 말입 니다. 알파고가 천재 바둑기사를 이긴 이후에 이런 주장에 더 힘이 실릴지도 모르겠습 니다. 세상은 분명 그렇게 변해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싶어하는 몇몇 나라들은 실 제 그렇기도 합니다. 올해 초 개최된 다보스포럼에서 4차산업혁명으로 2020년이 되면 세계적으로 일자리 700만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합니다. 그 일자리의 대부분이 사무직 노동자라고 합니다. 세상이 이렇게 변해가니 발도르프 학교에 보내는 것이 옳은 선택 이라고 자신에게 최면을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청년들을 ‘삼포세대’라고 부릅니다. 연애, 결혼, 출산 을 포기한 세대라는 뜻입니다. 더 나아가 취업과 내집 마련을 포기한 ‘오포세대’, 인간 관계와 미래에 대한 희망마저 포기한 ‘칠포세대’라는 말이 회자가 됩니다. 그래서 지금 신입학부모교육 1 의 대한민국을 ‘헬 조선’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까요? 우리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독점적인 기득권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평등한 사회가 될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이나 로봇의 발달로 인간의 일자리는 더욱 더 줄어들 것이 분명한데, 혹시 낙 관주의자들의 전망처럼 컴퓨터와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해주고 인간은 취미생활 을 즐기며 살아 갈 날이 도래할까요?
지금과 같이 자본의 이익이 궁극의 가치가 되는 사회에서 미래는 그리 낙관적이 지 않습니다. 발도르프 학교를 보낸다 해도 아이들이 이 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추구해 가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부모님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해소해주지는 못할 것 입니다. 설사 명문대학을 간다해도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려울 것이고, 일자리를 구한 다해도 학자금대출을 상환하느라, 집 월세를 내느라, OECD 국가 중 최장시간 노동을 감당하며 하루하루를 고단하게 살아갈 가능성이 큽니다. 이 사회가 바뀌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이쯤에서 우리의 우상과도 같은 루돌프 슈타이너의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우리 는 그를 발도르프교육을 창시한 교육자, 인지학을 창시한 철학자 정도로 알고 있습니 다. 저는 루돌프 슈타이너를 사회개혁가 또는 사회운동가로서 더 존경합니다. 인지학 을 창시하고서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회에 무관심했다면 지금처럼 유명해지진 않 았을 듯 합니다. 인지학의 명맥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그는 우리 삶의 문제가 곧 사회의 문제라고 했습니다. 사회의 문제가 곧 우리의 삶을 규정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인지학을 토대로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많은 대안을 제시했고 또 한 실천으로 옮겨 왔습니다. 발도르프교육은 그중 하나일 뿐입니다. 전쟁의 폐허 속에 서 인간의 무지함, 이중성을 깨우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의지, 감성, 사고 가 고루 발달된 인간을 만드는 교육을 주창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은 국가로 부 터 간섭받지 않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인간과 자연(우주)의 유기적 관계를 회복시키는 농업으로 생명역동농법을 만들었고, 의학과 제약, 건축분야에서도 새로운 길을 제시하 였습니다. 그리고 최근 그의 고민과 실천이 다시 주목받는 계기가 있었습니다. 한계에 도달한 정치와 경제시스템 때문이었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 체제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으며 특 히, 화폐가 가치를 축적하고 이익을 증식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 큰 문제라고 진단하였 습니다. 그래서 유통기한이 있는 화폐의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그가 주창했던 사 회 삼중구조론에 따르면 경제는 자유나 경쟁이 아닌 우애에 기반해야 한다고 했습니 다. 따라서 노동과 소득은 완전히 분리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신입학부모교육 2 ‘기본소득’ 개념도 이런 바탕위에 있는 것입니다. 루돌프 슈타이너가 주창한 사회개혁 론이 지지를 받게 되자 나치정권은 그를 암살하려 했고 결국 루돌프 슈타이너는 스위 스로 망명하게 됩니다. 정치와 관련해서는 1980년 독일에서 녹색당을 창당하게 되는데 이때 사상적 기반 을 마련한 이들이 인지학을 실천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녹색당의 활약으로 신재생에 너지의 보급을 확대하였고, 메르켈 정부가 탈핵을 공론화시키도록 압박을 가하였습니 다. 결국 독일은 탈핵을 선포하였고 EU도 2050년까지 원전 90%를 폐기하기로 결정 하였습니다. 현재 100여개 국가에서 녹색당이 활동하고 있으며, 공통적인 관심사는 ‘평 화’, ‘생태’, ‘남녀평등’, ‘탈핵’, ‘풀뿌리 정치’ 등입니다.
우리가 이곳에 모인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우리 아이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물려 주고 싶은 마음은 한결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그저 이 학교에 아이를 보내는 것 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사실, 그것만으로는 달라질게 별로 없습니다. 전국적으 로 대안학교 학생은 전체 학생의 1%가 되지 않습니다. 발도르프학교는 그중 일부입니 다. 우리나라에서 대안학교는 주로 사회의 관심 밖에 있으나 때때로 ‘귀족 학교’, ‘좌파 양성소’, ‘교육 사각지대’ 와 같은 이슈로 잠시 주목받을 뿐입니다. 이 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아이들이 ‘자유로운 인간’의 반열에 오르면 좋겠으나, 우리의 모습, 우리 사회의 어른들 모습을 보십시오. 그 목표는 우리가 일생 동안 추구해도 이르기 쉽지 않습니다. 우리의 지향점일 뿐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시행착오와 성찰입니다. 슈타이너 학교가 중요한게 아니라 슈타이너의 삶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유가 필요한 세상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세상의 변화는 나 자신의 변화로 부터 시작됩니다. 그렇다면 우선 내가 원하는 삶은 어떤 것인지, 내가 바 라는 세상은 어떤 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우리에 게 남겨진 숙제입니다.
* 나눌 자료 : ”세상이 계속 좋아질 것을 믿는 문명이 수명을 다했다”
http://www.huffingtonpost.kr/zeitgeist-korea/story_b_9615066.html
왜 우리는 교육을 받을수록 멍청해지는가

책 표지 이미지
푸른숲발도르프학교 바자회에서 재미있는 책한권을 입수했다. 민들레에서 발간한 책들을 파는 코너가 있었는데 **아빠가 맡고 있었다. 바자회 내내 **아빠가 나를 따라다니는 기분을 느꼈다. 결국 사야만 했으리라. 그 분의 내공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민들레에서 발간한 책이니 제도권교육에 대해 비판적일테고 교사, 부모의 성찰을 요구하는 책일 것이라 섣불리 짐작해 보며 그중 제목이 가장 섹시한(?) 책을 골랐다. 다행히 가격도 무척 저렴했다. 존 테일러 개토가 쓴 ‘바보 만들기’다. 부제는 ‘왜 우리는 교육을 받을 수록 멍청해 지는가’, 누가 붙였는지 참 멋지다. 한때 잘나가던 광고 카피라이터였다던 작가에게 부제를 요청했더라면 이정도 제목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작가는 광고 카피라이터로 일하다 그 일이 무의미함을 깨닫고 교직에 투신한다. 이후 30년간 교직을 지키며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교직사회에서 파격적인 행보라 하면 사실 관리자, 제도권, 허위에 대한 저항이라 봐도 좋을 듯 싶다. 조직화된 학교에서 자리 욕심을 버리고 아이들을 위해 투신한다면 충분히 파격적인 행보라 할만 하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런 교사에게 세번씩이나 ‘올해의 교사상’을 줬던 것을 보면 그의 행보를 반겼을 학부모와 교사, 학생들 그리고 극소수 관료들의 답답함이 어느정도 였을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 작가는 시종일관 근대 의무교육의 폐해에 대해 말하고 있다. 작가가 내린 최종 결론은 중앙집권화된 의무교육의 사형선고다. 더이상 개선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했다. 현재 교육제도를 통해 사회를 통제하는데 너무도 잘 성공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을 절대 폐기하지 못할 것이라 본 것이다. 나아가 제도권 교육의 붕괴를 위해 교육이 시장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경쟁할 것을 주문한다. 극단적인 처방이지만 어찌보면 현실적인 유일한 대안인지도 모르겠다. 세금을 학부모와 학생에게 돌려주고 교육주권을 회복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가 간섭하는 제도권 교육의 폐해는 많은 교육전문가,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바라 새로울 것은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작가의 경험을 통해 교육의 피해자인 독자들의 공감을 끌어낸다. 과거의 상처를 또렷히 회상시켜 준다. 넘치는 위트로 제도권 교육을 옹호하는 저들을 비꼬기도 한다. 그래서 감동적이다.
작가가 제시하는 해법은 두가지다. 첫째, 교육을 우리의 삶속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것이다. 가정, 사회와 괴리된 채 학교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지금의 의무교육이고 아이들을 자기 삶의 이유를 모르는 기계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식민지시대 뉴잉글랜드 지역의 독립교회(조합교회라 해석하는데 어색해서)와 같은 자율적인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작가가 제시하는 이 방식이 사실 신선하게 다가오진 않는다.
왜냐하면 나는 발도르프교육 철학을 이미 접했기 때문이다. 작가가 주장하는 국가교육의 폐해와 그 해결책은 100여년전 루돌프 슈타이너가 제시했던 바와 거의 일치한다. 미국이 문제삼는 의무교육의 뿌리는 프로이센의 교육모델이었다. 독일의 근대교육이 미국으로 수출되고, 미국은 일본에 수출하고, 일본은 한국에 전수했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당시 독일 국가교육의 폐해를 보고 독립적인 학교의 설립을 주장했다. 국가의 간섭, 경제로 부터 자유로운 학교, 공동체로 이루어진 학교가 발도르프학교이다. 작가인 존 테일러 개토의 주장을 지지하고 탈학교 운동에 동참하는 사람들이 전세계적으로 퍼져 있다고 한다. 그들은 발도르프교육을 들어보지 못했을까?
분명한 것은 발도르프교육 또는 인지학과 관련된 서적보다 이 책 ‘바보 만들기’의 책장을 넘기기가 더 쉽다. 교육을 아이들을 통제하고 길들이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저들을 향해 ‘빅엿’을 날려주니 통쾌하다. 하지만 그 이후엔 공허함이 남지 않을까 싶다.
이젠 뭘, 어떻게 해야 하지?
탈학교, 홈스쿨링, 대안학교, 그 문턱을 넘기가 이 나라에서는 너무 어렵다. 하지만 일단 그 문을 넘어서면 왜 그토록 고민했을까 싶다. 어리석게…
발도르프학교 1학년 K의 하루 나기
교실 한켠에 촛대를 마련합니다. 그 주변에 원을 그리며 의자를 놓습니다. 선생님과 학생들이 의자에 앉고 서로를 살핍니다. 오늘은 누가 촛불에 불을 붙이게 될까. 모두가 행운의 주인공이 되기를 바라지만 선생님은 의기소침하거나 혹은 기운이 넘치는 아이를 고릅니다. 촛불과 함께 아이들의 눈과 마음이 환하게 열립니다. 선생님과 아이들이 하나되어 아침을 여는 시를 낭송합니다.
Morning has come ~
Night is Away ~
Rise with the sun and welcome the day ~ ♪
첫 시간은 에포크 수업입니다. 정해진 수업시간은 40분이나 에포크수업은 100분간 진행이 됩니다. 정신이 가장 맑은 시간이라 1학년 아이들이지만 흐트러짐이 없습니다. 요즘 K가 에포크수업시간에 배우는 것은 ‘ㄷ’, ‘ㄹ’, ‘ㅁ’, ‘ㅂ’, ‘ㅍ’ 과 같은 한글 자음과 숫자입니다.
에포크 수업시간이 끝나면 25분간의 쉬는 시간이 있습니다. 부모님이 싸주신 과일, 채소, 견과류로 간식시간을 갖습니다. 밖으로 나가 뛰어놀고 싶은 마음에 간식먹는 시간이 매우 바쁩니다. 간식을 먹고 나면 자유시간. 운동장과 산을 오가며 놀기에 10여분의 시간은 너무 짧습니다.
두번째 시간은 외국어나 수공예를 배우는 시간입니다. 푸른숲발도르프학교에서는 중국어와 영어를 배웁니다. 상급학년에서는 일본어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발도르프학교에서는 외국어를 모국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습득하도록 도웁니다. 선생님은 우리말을 쓰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선생님이 무슨말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기에 선생님의 눈짓, 손짓, 몸짓에 더 집중합니다. 1학년 학생들에게 외국어 수업은 놀이에 더 가깝습니다. 선생님과 함께 놀며 노래부르는 시간으로 채워집니다.
마지막 시간은 미술, 음악과 같은 예술수업입니다. 1학년 미술시간에는 습식수채화를 배웁니다. 빨강, 노랑, 초록, 파랑, 색깔이 주는 느낌대로 아이들은 반응합니다. K는 이 수업이 어렵다고 했습니다. 늘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다 선생님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K는 습식수채화 수업에 대한 느낌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집중을 백개는 해야 해.”
지난 주 5음계 리코더를 받았습니다. 3학년 형, 누나들이 사용하던 리코더를 물려 받았습니다. 3학년은 7음계 리코더로 배우게 됩니다. K는 리코더에 대해 많은 애착을 보입니다. 학교에서 쓰는 것, 집에서 쓰는 것, 두개를 가지고 있으면 좋겠다고 합니다. 리코더를 배우고 난 이후에도 그 마음 변치 않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수업이 끝나고 학교 식당에서 점심을 먹습니다. 식사전후 꼭 감사기도를 합니다.
“땅은 곡식을 자라게 하고
해는 그것을 익게 하니
사랑하는 햇님 사랑하는 땅님
고맙습니다. 잘 먹겠습니다.”
점심을 먹고 자유시간. 자유시간이 끝나면 집으로 돌아오거나 방과후 놀이활동에 참여합니다. 1학년 학생들은 가능하면 집에서 쉬게 할 것을 권장합니다. 8살 아이들에게는 집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엄마의 애정을 느끼는 시간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8시 30분, 밤이 찾아오면 K는 잠자리에 듭니다.
아침을 여는 시
– 루돌프 슈타이너 –
해에서 나오는 사랑의 빛이
나에게 하루를 밝혀 줍니다.
영혼에 들어있는 신의 힘이
내 팔다리에 힘을 줍니다.
빛나는 햇빛 속에 있는 신이여.
당신을 우러러봅니다.
당신이 내 영혼에
자비롭게 심어준
사람의 힘으로
나는 잘 배울 수 있고
또 많은 것을 알고자 합니다.
당신한테서 빛과 힘이 나왔고
당신한테로 사랑과 감사가 흘러갑니다.